본문 바로가기

조직문화31

권한이 없을 때 어떻게 조직문화를 바꿀까? 침몰하는 배에 탑승하신 걸 환영합니다 "우리 부서는 침몰하는 배야. 지안씨도 열심히 해서 빨리 다른 데로 가" 이런 이야기를 부서에 온 지 일주일 만에 들으면 기분이 어떨까? 실제로 부서에서 가장 고참에게 들은 이야기다. 처음에는 농담인 줄 알았지만 부서의 역사를 보면 침몰하는 배가 맞았다. 처음 부서가 생길 때만 해도 미래가 밝았다. 신임 CEO가 부임하며 야심차게 조직 혁신을 내세웠고 HR 혁신 TF가 꾸려졌다. 바로 이 TF가 지금 부서의 전신이다. 외부에서 HR전문가가 영입되어 리더를 맡았다. TF는 몇 가지 변화에 성공했지만 '혁신'이라고 부를 만한 결과는 아니었다. 시간이 지나며 CEO의 관심은 사라졌고, 조직규모와 역할은 점차 축소되었다. 흔히 말하는 '끗발' 있는 조직 밑에서 점차 힘없는 .. 2021. 5. 6.
넷플릭스 조직문화 파헤치기 넷플릭스의 조직문화는 자율과 책임(F&R, Freedom and Responsibility)의 문화다. 규율과 통제에 의해 사람을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한 명의 성숙한 어른으로서 직원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하기를 기대한다. 이런 믿음 하에 전통적인 회사에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자유를 보장한다. 넷플릭스의 자율과 책임의 문화는 과연 어떻게 작동하는 것일까? 책 에서는 크게 3가지 요인을 이야기한다. 능력 있는 직원을 확보해 인재 밀도를 높이고, 피드백을 독려해 솔직한 문화를 만들며, 각종 규제를 제거하고 맥락으로 조직을 이끈다. 각 항목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자. 1. 능력 있는 직원 확보를 통한 ‘인재 밀도 구축’ 비범한 동료들로 구성된 탁월한 팀 넷플릭스의 조직문화의 특징 첫 번째는 ‘비범한 동.. 2021. 5. 6.
CEO 메시지 제작 후기 올해 1분기에 가장 주력한 업무는 CEO 영상 메시지 제작이다. 3월 말에 사내 포털을 통해 전사원에게 공유되었다. 현 CEO가 연임에 성공한 이후 처음 직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스피치였던 만큼 평소의 CEO 메시지보다 무게감이 실렸다. 신경을 많이 썼던 업무라서 진행과정을 기록으로 남겨둔다. CEO 메시지를 제작한 이유 작년에 시행한 조직문화 진단 결과 회사 비전, 방향성에 대한 직원들의 공감도가 떨어지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 데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일단 회사의 방향성을 공식적으로 접할 기회 자체가 너무 적었다. 새해가 되면 올라오는 CEO 신년사, 회사 설립일에 올라오는 CEO 메시지 정도가 공식적으로 접할 수 있는 기회의 전부였다. 이 부분을 건드려 보기로 마음먹었다. 일단 .. 2021. 5. 6.
조직 내 소통 프로그램 사례 : 제주맥주의 KSS, 힐링페이퍼의 KPT 여러분 조직의 소통은 안녕하십니까 : 조직 내 소통에 관한 기존 인식의 문제점 조직문화 진단을 하거나, 직원 인터뷰를 해보면 항상 조직 내 소통 부족이 상위권에 나온다. 그런데 지금까지 회사차원에서 나름의 다양한 노력을 해왔다. 조직 내 소통 활성화라는 명목 하에 각종 행사를 진행하거나(체육대회, 워크숍 등), 소통 기회를 만들기 위해 간담회(라고 쓰고 회식이라 읽는다)를 해왔다. 하지만 소통이 부족하다는 직원들의 불만은 줄어들지 않는다. 무엇이 문제일까? 내가 찾은 문제는 '소통'이라는 하나의 단어를 놓고 조직과 직원들이 서로 다른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직원들이 말하는 소통은 '업무적, 제도적인 것에 관한 소통'이다. 리더가 업무지시를 할 때 맥락 공유를 안 해준다던지, 지나치게 서류 작업이.. 2021. 3. 1.
권한위임에 관한 친절한 안내서, <턴어라운드> 권한위임의 중요성은 예전부터 공감했지만, 실무자로서 궁금했던 것은 '권한위임을 조직내 뿌리내릴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론'이었다. 그런면에서 는 권한위임이 무엇인지, 어떻게 정착시켜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친절한 안내서다. 는 미국의 핵잠수함 산타페함의 실화를 토대로 한 조직의 문화가 바뀌어 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산타페함에 새로 부임한 마르케 함장은 전통적인 ‘리더-팔로워 모델’ 대신 모든 조직원이 리더가 되는 ‘리더-리더 모델’을 조직에 정착시킨다. 이후 산타페함은 각종 평가에서 1등을 기록하고, 뛰어난 전투력으로 수많은 상을 수상하는 조직으로 거듭난다. 마르케 함장의 권한위임 행동원리는 3C, 통제권(Control), 역량(competence), 명료성(Clarity)으로 요약된다. 첫 번째, 함장에게 .. 2021. 1. 3.
2020년 회고 : Upgrade 2020 2020년을 한 마디로 요약하면 성장의 해였다. 회사를 다니고, 일을 하면서 자신 있게 1년 동안 성장했다고 말할 수 있는 해는 2020년이 처음이다. 성장했다고 느끼는 건 올해들어 생긴 몇 가지 변화 때문이다. 변화에 관해 간단히 적어보자면, 1. 내 힘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했다고 말할 수 있는 프로젝트'가 생겼다. 2020년은 조직문화 진단을 빼놓고 말할 수 없다. 고생한 만큼 배운 것도 많았던 프로젝트. 왜 도전적인 업무를 해야만 성장할 수 있는지 알 수 있었다. 2. 내가 맡고 있는 일(조직문화)의 다양한 영역에 관한 '의견'이 생겼다. 내가 지금 하고 있거나, 해야 할 일에 관해서 의견을 가지게 되었다. 그 말은 각 주제별로 손톱만한 지식이라도 있다는 이야기다. 의견이 생기려면 일단 뭐라도 알.. 2020. 1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