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직문화 개선 사례4

<'오.조.담' 출간 뒷이야기1_많고 많은 조직문화 일 중에 6가지만 콕 집어 소개한 이유> 조직문화라는 주제 자체가 방대하다 보니 조직문화 담당자의 일도 다양합니다. 어디에 초점을 맞추는가에 따라 일의 성격이 확확 달라집니다. 회사, 조직문화 팀의 상황에 따라 이벤트/사내 커뮤니케이션/조직개발/리더십 교육/일하는 프로세스 개선 등등 다양한 일을 합니다. 저도 팀에 있으면서 이것저것 다양한 일을 해봤는데요. 일을 하면서 들었던 의문은 ‘도대체 조직문화 담당자의 일이 뭐지?’였습니다. 가까운 옆동네인 HRM 분야는 비교적 업무 영역이 체계화되어서 분야별 담당자가 있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채용 담당, 보상 담당, 평가 담당 이런식으로요. 그런데 조직문화는 분화되지 않고 통짜로 그냥 조직문화 담당입니다. 상대적으로 ‘조직문화 담당’이라는 직무가 생겨난 역사가 짧다 보니 그런 것 아닐까 혼자서 추측할.. 2022. 10. 27.
<오늘부터 조직문화 담당자>를 출간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지안입니다. 오랜만에 좋은 소식으로 글을 올립니다. 시작하는 조직문화 실무자를 위한 책, 가 정식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온라인 서점 링크 (왼쪽을 클릭하면 Yes24로 연결됩니다) 제 책은 정확히 말하면 ‘조직문화’가 아닌 ‘조직문화 담당자의 일’에 관한 책입니다. 시중에 있는 여러 조직문화 책을 읽고 느꼈던 갈증, ‘좋아 무슨 말인지는 알겠어. 그런데 당장 월요일에 출근하면 무슨 일을 해야 해?’에 대한 나름의 답을 담았습니다. 책의 메인 타겟은 이제 막 조직문화 업무를 맡아 무엇을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는 신입 담당자입니다. 이제 막 업무를 맡은 팀 후배에게 하나씩 알려준다는 마음으로 썼습니다. (따라서 저보다 경험이 많은 분들은 이미 다 아는 내용일 수 있습니다) 챕터1에서는.. 2022. 10. 21.
조직 내 소통 프로그램 사례 : 제주맥주의 KSS, 힐링페이퍼의 KPT 여러분 조직의 소통은 안녕하십니까 : 조직 내 소통에 관한 기존 인식의 문제점 조직문화 진단을 하거나, 직원 인터뷰를 해보면 항상 조직 내 소통 부족이 상위권에 나온다. 그런데 지금까지 회사차원에서 나름의 다양한 노력을 해왔다. 조직 내 소통 활성화라는 명목 하에 각종 행사를 진행하거나(체육대회, 워크숍 등), 소통 기회를 만들기 위해 간담회(라고 쓰고 회식이라 읽는다)를 해왔다. 하지만 소통이 부족하다는 직원들의 불만은 줄어들지 않는다. 무엇이 문제일까? 내가 찾은 문제는 '소통'이라는 하나의 단어를 놓고 조직과 직원들이 서로 다른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직원들이 말하는 소통은 '업무적, 제도적인 것에 관한 소통'이다. 리더가 업무지시를 할 때 맥락 공유를 안 해준다던지, 지나치게 서류 작업이.. 2021. 3. 1.
핵심가치 프로그램 회고 : 칭찬이 솔루션이다 칭찬이 솔루션이다 부서에 온 첫 해 핵심가치 담당자가 되었다. 조직에 핵심가치를 널리 널리 퍼트리라는 미션이 떨어졌다. 하지만 업무를 시작하자마자 난관에 봉착한다. 전임자들이 열일한 결과 웬만한 프로그램은 이미 다 했다는 것이다(....) 사례 공모전, 웹툰 제작 및 배포, 오프라인 집합교육, 워크샵 등등. 지금이야 경험치가 쌓여서 아이디어가 있지만 그때는 아무리 머리를 쥐어뜯어도 아이디어가 나오지 않았다. 그러던 중 트레바리에서 영학님에게 '칭찬이 솔루션이다'라는 명제를 듣게 되었다. 당시에 영학님은 퍼블리 원고를 쓰기 위해 샌프란시스코에 열린 'Culture summit 2019'에 다녀온 직후였다. 그곳에서 '칭찬'이라는 키워드가 반복적으로 나왔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칭찬이 바로 원하는 조직문화를.. 2021. 1.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