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안8 [기고]구성원의 자부심을 만드는 조직문화 자부심을 만들기 위한 핵심, 일관성사례1: 입사한지 5년째 되는 K는 고객 데이터와 시장 트렌드를 분석한 새로운 상품 기획안을 팀장에게 보고했다. 평소 회사에서 만들던 제품보다는 다소 도전적이지만 데이터에 근거했을 때 충분히 가능성 있는 기획이었다. 무엇보다 K는 회사의 핵심가치인 '도전정신'을 믿었다. 하지만 팀장에게 돌아온 대답은 '괜히 새로운 거 하지 말고 기존에 하던 대로 해'였다. 사례2: S는 최근 회사의 팀장 승진 결과를 보고 당혹스러웠다. 유력한 후보는 A였다. A가 기획한 마케팅 캠페인은 매출 향상 및 브랜드 인지도 상승에 높은 기여를 했다. 동료 평가에서도 항상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그런데 팀장은 이렇다 할 성과가 없는 B가 되었다. 주변에서는 B가 CEO와 회사 창립부터 지금까지 함.. 2025. 1. 25. 비전(Vision)에 관하여 비전(Vision)이 있지만 없는 회사 "흠, 저 회사는 비전이 없구나" 모 건설회사가 새로운 대표 체제로 들어서며 새로운 비전을 선포했다는 신문 기사를 읽었다. 기사를 읽고 나서 나도 모르게 비전이 없다는 말을 입 밖으로 내뱉었다. 회사가 새로 발표한 비전은 ‘투명한 신뢰와 끊임없는 혁신으로 더 안전하고 행복한 삶의 미래를 완성합니다’이다.¹ 분명히 발표한 새로운 비전이 있는데 왜 나는 비전이 없다고 생각했을까? 가장 큰 이유는 비전이 두루뭉술했기 때문이다. 건설 회사가 아닌 다른 어떤 회사의 비전이라고 해도 이상하지 않은 비전이었다. 예를 들어 자동차/제약/식품회사의 비전이 ‘투명한 신뢰와 끊임없는 혁신으로 더 안전하고 행복한 삶의 미래를 완성합니다’라고 상상해보자. 크게 어색하지 않다. 이렇게 .. 2024. 7. 14. HR baton touch를 시작합니다. 오랜만에 글 남깁니다. 마지막 글이 22년 10월에 남긴 글이네요. 근 1년 8개월을 방치해 둔 셈입니다. 티스토리 블로그한테 괜히 미안하네요. 최근에는 브런치에 주로 글을 남겼지만 누가 뭐래도 제 블로그의 시작은 티스토리 였으니까요. 티스토리 블로그 덕분에 출간 기회도 얻었습니다. 티스토리의 기여도(?) 대비 그동안 너무 관리를 안 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앞으로는 다시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해 보려고요. 블로그를 다시 시작하는 이유는 처음 블로그를 시작했던 이유와 같습니다. (참고 : 커뮤니티 리더십에서 영감을 받다 2020.04.19) 지금 하고 있는 업무, 즉 HR과 관련된 지식,경험의 정리정리한 글을 통해 HR 정보가 필요한 사람에게 도움 주기 각각의 이유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 2024. 7. 11. <오늘부터 조직문화 담당자>를 출간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지안입니다. 오랜만에 좋은 소식으로 글을 올립니다. 시작하는 조직문화 실무자를 위한 책, 가 정식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온라인 서점 링크 (왼쪽을 클릭하면 Yes24로 연결됩니다) 제 책은 정확히 말하면 ‘조직문화’가 아닌 ‘조직문화 담당자의 일’에 관한 책입니다. 시중에 있는 여러 조직문화 책을 읽고 느꼈던 갈증, ‘좋아 무슨 말인지는 알겠어. 그런데 당장 월요일에 출근하면 무슨 일을 해야 해?’에 대한 나름의 답을 담았습니다. 책의 메인 타겟은 이제 막 조직문화 업무를 맡아 무엇을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는 신입 담당자입니다. 이제 막 업무를 맡은 팀 후배에게 하나씩 알려준다는 마음으로 썼습니다. (따라서 저보다 경험이 많은 분들은 이미 다 아는 내용일 수 있습니다) 챕터1에서는.. 2022. 10. 21. 커뮤니티 리더십에서 영감을 얻다 블로그를 시작한 이유는 최근에 읽은 책에서 영감을 받았기 때문이다. 책 제목은 이다. 책에서는 '커뮤니티 리더십'이란 생소한 개념을 설명한다. 커뮤니티 리더십이란 쉽게 말해서 '배워서 남주자'를 인생모토로 삼는 사람들이다. 스스로 열심히 공부하는 건 기본이고 자신이 공부한 내용을 블로그, 유튜브를 통해 공유한다. 더 나아가 온오프라인 가리지 않고 직접 커뮤니티를 만들고, 때로는 강의도 하면서 자신의 노하우를 맘껏 공유한다. 유익한 정보를 남들에게 전달하는데서 기쁨을 느끼는 사람들이다. '자신이 힘들게 쌓은 지식이나 노하우를 무료로 공개하면 손해 아니야?'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책에서는 오히려 커뮤니티 리더십의 장점을 설명한다. 1.커뮤니티에서는 살아있는 공부를 할 수 있고, 2.자신의 영향력을 .. 2020. 4. 19. 리더에게 '신뢰'가 중요한 이유 CEO 보고를 위한 원페이지 보고서를 작성했다. CEO 보고 건이다 보니 부장님의 문서 수정횟수도 평소보다 더 많았다. 1번, 2번, 3번 수정횟수는 늘어만 갔다. 책상 한쪽에는 쓸모없어진 보고서가 쌓여 갔다. 퇴근 전 책상정리를 하는데 버려야 되는 보고서가 한뭉터기였다. 부장님과 처음 만났던 작년 초라면 기분이 어땠을까. 아마 짜증이 많이 났겠지. 실행이 중요하지 보고서가 중요하냐고, 보고서 수정하다가 날새겠다고 툴툴거렸을 거다. 하지만 1년 정도 지금 부서에서 일하면서 생각이 바뀌었다. 부장님이 문서 수정을 너무 많이 해서 미안하다는 기색을 보이길래 “부장님이 수정해주시면 보고서가 좋아진다”고 말했다. 빈말이 아니라 진심이었다. 여전히 문서작성(계획)보다는 실행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일을 할때는 시.. 2020. 4. 17.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