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업문화5

<'오.조.담' 출간 뒷이야기1_많고 많은 조직문화 일 중에 6가지만 콕 집어 소개한 이유> 조직문화라는 주제 자체가 방대하다 보니 조직문화 담당자의 일도 다양합니다. 어디에 초점을 맞추는가에 따라 일의 성격이 확확 달라집니다. 회사, 조직문화 팀의 상황에 따라 이벤트/사내 커뮤니케이션/조직개발/리더십 교육/일하는 프로세스 개선 등등 다양한 일을 합니다. 저도 팀에 있으면서 이것저것 다양한 일을 해봤는데요. 일을 하면서 들었던 의문은 ‘도대체 조직문화 담당자의 일이 뭐지?’였습니다. 가까운 옆동네인 HRM 분야는 비교적 업무 영역이 체계화되어서 분야별 담당자가 있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채용 담당, 보상 담당, 평가 담당 이런식으로요. 그런데 조직문화는 분화되지 않고 통짜로 그냥 조직문화 담당입니다. 상대적으로 ‘조직문화 담당’이라는 직무가 생겨난 역사가 짧다 보니 그런 것 아닐까 혼자서 추측할.. 2022. 10. 27.
테일러리즘과 애자일의 기본가정 비교하기 이게 다 테일러리즘 때문이다 '과연 이렇게 조직을 운영하는게 최선일까?' 회사를 다니면서 막연하게 가졌던 의구심이다. 자율보다는 관리와 통제가 중요하고, 칭찬과 동기부여보다는 감시와 처벌을 통해 조직을 이끌어 간다. 처음에는 우리 조직에만 있는 현상인 줄 알았다. 하지만 주변 지인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니 다른 회사도 별반 다르지 않았다.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이었다. 나를 포함해 많은 직장인들이 경험하고 있는 조직운영 방식은 테일러리즘(Taylorism) 혹은 과학적 관리법(scientific management)에 가깝다. 테일러리즘은 20세기 초부터 주목받은 조직운영 이론이며 이 이론의 핵심목표는 경제적 효율성, 특히 노동생산성 증진에 있다. 테일러리즘은 작업을 과업 단위로 쪼갠다음 각각의 과업을 최대.. 2020. 5. 4.
리더에게 '신뢰'가 중요한 이유 CEO 보고를 위한 원페이지 보고서를 작성했다. CEO 보고 건이다 보니 부장님의 문서 수정횟수도 평소보다 더 많았다. 1번, 2번, 3번 수정횟수는 늘어만 갔다. 책상 한쪽에는 쓸모없어진 보고서가 쌓여 갔다. 퇴근 전 책상정리를 하는데 버려야 되는 보고서가 한뭉터기였다. 부장님과 처음 만났던 작년 초라면 기분이 어땠을까. 아마 짜증이 많이 났겠지. 실행이 중요하지 보고서가 중요하냐고, 보고서 수정하다가 날새겠다고 툴툴거렸을 거다. 하지만 1년 정도 지금 부서에서 일하면서 생각이 바뀌었다. 부장님이 문서 수정을 너무 많이 해서 미안하다는 기색을 보이길래 “부장님이 수정해주시면 보고서가 좋아진다”고 말했다. 빈말이 아니라 진심이었다. 여전히 문서작성(계획)보다는 실행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일을 할때는 시.. 2020. 4. 17.
에드거 샤인이 말하는 조직문화의 세 가지 차원 에드거 샤인이 말하는 조직문화의 세 가지 차원은 다음과 같다. 물리적 공간과 겉으로 드러난 행동 등의 '인공물(artifacts)' 그 집단이 표방하는 '신념'이나 '가치관(espoused values)' 신념, 가치관 이면에 숨겨져 있는 '기본 가정(underlying assumptions)' 1.인공물(artifacts) 조직문화에서의 인공물은 조직이 문화적으로 표출한 모든 것을 뜻한다. 조직에서 보고 듣고 느낄 수 있는 현상, 물건이 해당한다. 로고, 사가, 근무 복장, 고유한 용어, 의례부터 조직이 만든 제품, 서비스, 조직구조, 제도, 정책 등 그야말로 조직 내에서 만나는 모든 것을 말한다. 한번은 사무실에 있는 파티션이 왜 이렇게 높아야 할까?를 고민한 적이 있다. 개인적으로 탁 틔이고 답답하.. 2020. 4. 12.
조직문화의 정의를 알아보자 바야흐로 1년 전인 2019년 4월, 새로운 부서에 배치됐다. 새로 배치된 부서는 회사의 조직문화를 담당하는 곳이었다. 조직문화의 중요성은 그전부터 잘 알고 있었다.(조직문화가 맞지 않아서 입사 초반 고생 많이 했다...) 최근들어 언론에서도 조직문화를 언급하는 횟수도 많아졌다. 심지어는 조직문화를 경영의 전면에 내세운 기업들도 등장하는 추세다.(김범수 의장 “카카오 시즌2, 문화가 일하는 기업 만들겠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732935 ) 하지만 조직문화의 중요성에 공감하는 것과 조직문화 담당자로 일하는 건 전혀 다른 문제였다. 실무적으로 일하는 건 둘째치고 우선 조직문화라는 단어의 뜻부터 몰랐다. 문화라는 단어가 들어가니 왠지 좀 말랑말랑하고 좋은 것 같기는 한.. 2020. 4.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