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피드백4

리더도 피드백을 받아야 합니다 빠르게 성장하는 기업의 공통점, 피드백 문화 조직문화 관련된 자료들을 보다 보니 어느 순간부터 '피드백'이라는 단어가 눈에 띄었다. 특히 빠르게 성장하거나, 그 분야에서 괄목할만한 성취를 이룬 기업들은 공통적으로 피드백 문화를 갖추고 있었다. 리드 헤이스팅스의 넷플릭스, 레이 달리오의 브리지워터 같은 기업들이다. 좋은 피드백 문화란 어떤 것일까? 최근에 봤던 자료 중 가장 공감 갔던 건 넷플릭스의 이다. 1.AIM TO ASSIST(도움을 주겠다는 생각으로 하라) : 피드백은 선의에서 비롯되어야 한다. 구체적인 행동변화가 상대방 개인이나 회사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분명히 설명해야 한다. 2.ACTIONABLE(실질적인 조치를 포함하라) : 피드백은 받는 사람의 행동이 변화되는 것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2021. 6. 6.
넷플릭스 조직문화 파헤치기 넷플릭스의 조직문화는 자율과 책임(F&R, Freedom and Responsibility)의 문화다. 규율과 통제에 의해 사람을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한 명의 성숙한 어른으로서 직원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하기를 기대한다. 이런 믿음 하에 전통적인 회사에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자유를 보장한다. 넷플릭스의 자율과 책임의 문화는 과연 어떻게 작동하는 것일까? 책 에서는 크게 3가지 요인을 이야기한다. 능력 있는 직원을 확보해 인재 밀도를 높이고, 피드백을 독려해 솔직한 문화를 만들며, 각종 규제를 제거하고 맥락으로 조직을 이끈다. 각 항목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자. 1. 능력 있는 직원 확보를 통한 ‘인재 밀도 구축’ 비범한 동료들로 구성된 탁월한 팀 넷플릭스의 조직문화의 특징 첫 번째는 ‘비범한 동.. 2021. 5. 6.
표현에 인색한 사람이 되지 말자 매주 금요일 주요 주간지 기사를 요약해서 메일로 공유해주는 선배가 있다. 저번 금요일도 평소와 같이 메일이 와있었다. 평소라면 메일과 함께 온 첨부파일만 열어보고 말았겠지만 그날따라 에서 읽었던 '표현에 인색한 사람이 되지 말자'는 내용이 기억났다. "어떤 사람을 좋아하나요?" 이 식상한 질문에 시인은 머뭇거림 없이 대답했다. "인색하지 않는 사람을 좋아해요. 그리고 인색한 사람을 싫어해요." 시인의 말이 지금까지 생각나는 건 나 역시 인색한 사람을 싫어하기 때문이다. 지나치게 감정 표현을 안 하는 사람, 주머니를 너무 안 여는 사람. 입과 주머니를 꾹 잠근 사람에게 다가가기란 영 마뜩잖다. - , 김민정 시인의 말 매번 좋은 자료를 공짜로 공유받는게 살짝 미안하기도 했고 동시에 고마운 마음도 들었다. .. 2020. 6. 14.
내가 하는 조언은 상대방에게 도움이 될까? 몇 달 전 부서에 새롭게 후배가 왔다. 하루는 그 후배가 부서 전원에게 공지사항을 안내하는 메일을 발송했다. 내용이 잘 정리되어 있지 않아서 이해하려면 한참을 봐야했다. 이걸 이야기해야 되나 말아야 되나 한참을 고민하다가 결국 메일을 보냈다. 이 내용은 이러이렇게 작성하면 더 좋다. 다음부터는 이런 식으로 내용을 구성하면 좋다는 메일이었다. "죄송합니다. 다음부터는 더 신경써서 메일을 작성하겠습니다" 후배에게 온 답장을 받고 영 찝찝했다. 혼내려고 한 건 아니었는데. 사실 그 친구가 마음에 들었고 도움이 됐으면 해서 메일을 보낸 건데. '과연 내가 한 조언은 후배에게 도움이 됐을까? 그냥 꼰대질이 아니었을까?' 퇴근길에 마음이 무거웠다. 충고란 내게만 효과가 있는 기법의 열거다 "사람마다 근본적으로 다르.. 2020. 4.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