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기부여1 테일러리즘과 애자일의 기본가정 비교하기 이게 다 테일러리즘 때문이다 '과연 이렇게 조직을 운영하는게 최선일까?' 회사를 다니면서 막연하게 가졌던 의구심이다. 자율보다는 관리와 통제가 중요하고, 칭찬과 동기부여보다는 감시와 처벌을 통해 조직을 이끌어 간다. 처음에는 우리 조직에만 있는 현상인 줄 알았다. 하지만 주변 지인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니 다른 회사도 별반 다르지 않았다.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이었다. 나를 포함해 많은 직장인들이 경험하고 있는 조직운영 방식은 테일러리즘(Taylorism) 혹은 과학적 관리법(scientific management)에 가깝다. 테일러리즘은 20세기 초부터 주목받은 조직운영 이론이며 이 이론의 핵심목표는 경제적 효율성, 특히 노동생산성 증진에 있다. 테일러리즘은 작업을 과업 단위로 쪼갠다음 각각의 과업을 최대.. 2020. 5. 4. 이전 1 다음